>

oracle 사용하시는 개발자라면 toad를 많이사용한다.. 


데이터를 분석 하다보면 가끔 쿼리 결과를 출력하는 Data Grid에 빈공백이 보이는 부분이.. null 값이 들어 간지.. 


또는 빈공백(스페이스)이 들어 간지 애매모호 할 경우가 있다.. 


toad 옵션 중 데이터가 null이면 Data Grid 결과 값에 null 로 표시를 해주는 옵션이 있다 


별거 아닌거 같지만 기억 해놓으면 두고두고 설정해서 쓰게될것임.. ㅋㅋ


설정 방법은 정말 쉽다~! 10초면 샤샤샥 할 수 있을 정도로 ^^

설정 방법은 아래 순서대로 ㄱㄱ!!


1. 상단 메뉴 중  View > Toad Options (이미지에 성의없는 빨간색 테두리 참조 ㅋ)



2. Options > Data Grids 선택 후 아래 Null columns 옵션 (빨간색 박스) 에서 {null} 선택 후 Ok 버튼 클릭!!

   (참고로 Blank 가 초기값으로 선택 되어있음!!)



3. 설정 전 후 비교 샷



*설정 전 * 설정 후




눈에 보이게 null 값이 Data Grid 창에 보일것이다.

빈공간(스페이스), null값 을 구분하기 위해서라도 꼭 toad 옵션을 설정을

하고 개발을 or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도록 합시다!! 


- 이클립스 켜는 속도가 느릴경우 

- 이클립스 실행 후 복합적으로 느려지는 경우 


본인은 이클립스 설정 파일 (eclipse.ini) 를 수정 하여 실행 한다..  

이클립스가 느려질때 마다 여러 블로그를 통해 수집해와서 복붙 cvcv 를 했지만.. 

따로 메모를 해서 항상 이 패턴으로 사용하고 있다.. ㅋㅋ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이... ㄱㄱ





  • 이클립스 설치 폴더를 찾아들어 간다 
  • 설치 폴더에 들어 가면 eclipse.ini 파일이 뙇하고 보임 설정을 하기전 원본은 백업을 하는 습관은 센스


  • eclipse.ini 열고 들어가면 아래의 내용을 제일 하단에 복붙 ㄱㄱ 
  • 메모리에 관련된 내용들이 있다... 궁금하면 구글링 하여 하나하나 알아 가셔도대요...  정확하게는 기억이 나진 않지만 이클립스 속도에 관한 설정 일것 이다 ^,,^



  • 저장 후 이클립스 실행 ㄱㄱ 

  • 참고로 저는 데탑 I5 3세대 , 8G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 없이 잘 돌아 갑니다

  • 이클립스 실행이 안될 경우 백업본 으로 원복을 하면 되겠지만..  아마 메모리 값 문제 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메모리를 변경 해가며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 할 수 있는 메모리 설정을 찾길 바랍니다... 


개발, 운영을 하다보면 알수 없는 이유로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종종있다..  한글깨짐을 해결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나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원인을 파악한다...  조금 무식한 방법이지만ㅋㅋㅋㅋㅋ 


아래와 같이 SYSOUT으로 출력해서 한글이 안깨지는 라인을 찾아... 해결 하자......



화면단 디버깅을 할 때 항상 Chrome(크롬)을 이용하여 디버깅을 하는데.. 

가끔 익스플로러에서 디버깅을 할 때 크롬에서 이용하던 console.log 이 안 먹혀 귀차니즘에 빠진다... 


어쨌든, 익스플로러에서는 console.log 객체가 지원이 않는다는 점 ㅋㅋ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끝! ㅋㅋㅁㅋㅋㅋ

 


일을 하다보면.. 오라클 Function, Procedure 등 내용을 찾아서 분석을 해야할일 들이 가끔씩 생긴다.. 그때 마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가끔.. 일을 하다보면, 동일한 컬럼 명으로 데이터를 지우거나 업데이트 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때 마다 유용하게 복붙 하여 쓰고있다.. ㅋ



오랜만에 Spring Quartz 스케줄 시간을 설정할 일이 있어서.. 필요 한 부분만 정리를 해봤다... 까먹지 말자


'개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loud Config 로컬 Uri 설정 방법 참고  (0) 2023.05.15

+ Recent posts